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MSCI지수 편입을 위한 2월말 공매도 재개 발표 초 읽기

by 아담스미스 2022. 2. 15.
728x90
반응형

MSCI 지수

 

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네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이 발표하는 세계 주가 지수로,

글로벌 투자자들이 투자기준으로 삼는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이다.

MSCI 는 일년에 4회 (2,5,8,11월) 시가총액과 3개월 간의 유동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지수 편입 종목을 선정한다.

MSCI 지수에 편입되면 지수를 추종하는 글로벌 패시브 자금 유입에 물꼬가 트여 주가 상승 기대가 커진다.

구분

글로벌 지수 : ACWI (All Country World Index)

선진국 지수 : DM (Developed Market)

신층국 지수 : EM (Emerging Market) 👉 한국 포함

차기신흥국 지수 : FM (Frontier Market Index)

MSCI EM Index (Emerging Markets Index) 에 한국이 속해있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 1988년에 시작

- 24개 나라가 속해있음 : 중국 32% 한국 13% 대만 8% 브라질 7% ..

- 1125개 정도의 회사가 포함 : 중국 텐센트 4.5-5%, 알리바바, 삼성전자 3.7% …

MSCI world Index 에 들어가야 하지 않는지?

- 장점 : 더 큰 자산을 가진 투자자들이 한국에 투자 할 수도 있음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금융위원회,거래소 2월말로 예상하는데 국내증시 MSCI지수 편입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으로 공매도 전면재개를 발표를 할것이며 공매도 전면시행일시는 대선이후 3월말내지는 4월초가 매우 유력해 보입니다. 공매도 전면 재개시에 2021년도 CB(전환사채),BW(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이 증가했던 기업, 신용비중이 높은 기업군,유상증자로 인해 주식발행수가 증가한 기업, 신규상장으로 인한 오버행 이슈가 될만한 종목 이런 종목군들은 상대적으로 공매도 먹잇감으로 전략될 공산이 매우 크고 한가지 덧붙이면 묻지마 대선테마주 공매도가 가장 극도로 좋아하는 먹잇감중에 하나 입니다. 한국증시가 국가경제 규모와 기업들의 매출규모면에서 보더라도 신흥국증시에 이렇게 장기화 오래 머물러 있다는것은 한편으론 용납이 안되겠지만 그동안 편입이 좌절된 결정적인 이유는 24시간 외환자율화가 가장큰 걸림돌로 작용되었습니다.

한국은 1998년도 외환위기와 2008년도 미국 서브프라임을 겪은 이후 정부와 금융당국자들은 트라우마 처럼 달러보유에 대해 안감힘을 쏟았으며 외환자율화시에 급속한 외환보유액 감소로 경제위기를 초래할수 있다는 경계감이 크게 작용되고 있는데 이부분을 어떤식으로 해결할지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