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국내외증시일정

by 아담스미스 2022. 10. 9.
728x90
반응형

 

중국 제20차 당대회 이후 정책 기대감은 지수 상승요인이지만 OPEC 감산의 물가 자극 우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빅스텝의 경제 충격 우려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가 오는 11월부터 원유 생산을 200만배럴 줄이기로 합의했는데,블룸버그 통신은 OPEC+ 상당수 회원국이 이미 현재 생산 기준치에 못 미치는 원유를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감산량은 하루 90만배럴 수준일 것이라고 추산했습니다,.

미국은 금리인상을 통해 수요를 줄임으로써 물가상승 압력을 완화하려고 시도 중인데 OPEC+는 원유 수요 감소에 대해 공급 감축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향후 글로벌 주요국들의 물가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요인입니다. 조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내 원유비축분을 추가 방출을 지시했습니다.

오는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가 열릴 예정인데, 이날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는 0.5%포인트(p) 인상이 예상됩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미국 중앙은행(Fed)의 자이언트스텝 이후 금리인상의 전제 조건이 바뀌었다며 빅스텝 가능성을 열어뒀는데 11월 미국 연준이 0.75% 자이언트 스탭을 단행할 예정이라 한미간 기준금리 편차는 더욱더 발생하면서 외국인 자금 이탈은 가속화될 우려감이 확산될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증시 변동성이 확대될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증시안정기금이 이번주 중반 시장에 투입될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초기 자금 집행규모는 시장 상황에 따라 투입하겠다고 정부발표가 있어서 규모는 추이를 지켜봐야 할것입니다.


오는 13일 미국 9월 소비자물가가 발표될 예정입니다.헤드라인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8.1%, 근원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6.5% 예상됩니다. 헤드라인 물가상승률이 전월 대비 0.2%p 하락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할 여지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중국에서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기를 구성하는 작업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는 9일 19기 7중전회가 개최됩니다.. 여기서는 20차 당대회에서 상정할 당장 개정안과 각종 일정 등을 논의할 예정이며, 16~22일에는 20차 당대회가 예정돼 있습니다.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10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연례 총회 주간

콜럼버스의 날로 채권시장 휴장

9월 고용추세지수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부의장 연설

-11

9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IMF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IMF 세계금융안정 보고서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은행(연은) 총재 연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 뉴욕경제클럽 참석

-12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IMF 재정 점검 보고서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마이클 바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연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

펩시코 실적

-13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 언론 브리핑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9월 실질 소득

9월 CPI

데이비드 맬패스 세계은행 총재 언론 브리핑

델타항공, 월그린스 부츠 얼라이언스, 도미노스, 블랙록 실적

-14

9월 소매판매

9월 수출입물가지수

10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예비치)

8월 기업재고

JP모건체이스,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씨티그룹, 유나이티드헬스 그룹, PNC 파이낸셜, US방코프 실적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