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투자핵심이슈

by 아담스미스 2022. 9. 17.
728x90
반응형
LGD, 애플 아이폰14 LTPO OLED 10월 양산 가능성

 

LGD, 2주 안에 보완작업 마치고 애플 승인받으면 10월 초 양산 돌입
승인 시 올해 LGD의 아이폰 LTPO OLED 물량 1000만대 웃돌 가능성
'LTPO OLED 적용' 6.7인치 아이폰14프로맥스 수요 당초 전망 상회
애플 아이폰14 프로 라인업(2022년 모델)
 

LG디스플레이가 다음달 초 애플 아이폰14 LTPO OLED  양산에 돌입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기존 공정 보완작업을 2주 안에 마치고 애플 승인까지 받으면 LG디스플레이는 다음달 이 모델 LTPO OLED 양산에 돌입할 수 있다. 이 경우 LG디스플레이가 연말까지 기대할 수 있는 아이폰14 LTPO OLED 물량은 1000만대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애플로부터 아이폰14프로맥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양산 승인을 받기 위해 보완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14프로맥스 OLED는 고난도 기술인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적용한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가 처음인 LTPO 방식 아이폰 OLED 양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4프로맥스와 프로 모델 2종에 필요한 LTPO OLED를 이미 양산 중이다.

LG디스플레이가 다음달 초 아이폰14프로맥스용 LTPO OLED 양산에 들어가려면 앞으로 1~2주가 중요하다. LG디스플레이는 앞서 해당 OLED에서 LTPO TFT 등에서 문제를 노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마스크는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져, 새롭게 정비한 공정에서 LTPO OLED 샘플을 만들고 가혹한 환경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신뢰성 검사까지 마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다음달 초 양산이 어려워지면, 앞으로 기대할 수 있는 양산시기도 약 2주 간격을 두고 10월 중순, 그리고 10월 하순이나 11월 초순 등으로 차례로 밀린다.

LG디스플레이가 다음달 초 아이폰14프로맥스 LTPO OLED 양산에 들어가면 연말까지 기대할 수 있는 이 모델 물량은 1000만대를 웃돌 수 있다. LG디스플레이가 10~12월 석달간 경기 파주 E6 생산라인에서 만들 수 있는 LTPO OLED 물량은 700만~800만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이미 기존 공정에서 생산해놓은 LTPO OLED 수백만대 중 'A급' 양품이 200만~300만대를 넘어서면 전체 합계 물량은 1000만대를 웃돌 수 있다.

 

애플이 이달 초 공개한 아이폰14 시리즈에서는 프로 라인업 수요 비중이 6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14프로맥스 수요도 당초 기대를 웃도는 것으로 전해졌다. 프로맥스 수요가 강세를 보이면 LG디스플레이의 공급물량 기대치도 올라간다. 연말까지 아이폰14 시리즈 전체 출하량은 9000만대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LG디스플레이와 함께 아이폰14프로맥스 LTPO OLED를 생산하는 삼성디스플레이의 물량은 늘어나고 있다. LG디스플레이의 LTPO OLED 양산 지연으로 일부 물량이 삼성디스플레이로 넘어왔기 때문이다. 지난달 하순부터 삼성디스플레이는 협력사인 AP시스템과 HB솔루션, 필옵틱스 등에 장비를 발주하고 있다. LTPO OLED 모델 후공정에 필요한 장비가 당시 계약대상이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4 시리즈 4종 모두, LG디스플레이는 6.1인치 일반형 모델과 6.7인치 프로맥스 2종, 중국 BOE는 6.1인치 일반형 모델 1종만 생산한다. 6.1인치 일반형 모델과 6.7인치 플러스는 기술 난도가 낮은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TFT, 6.1인치 프로와 6.7인치 프로맥스는 LTPO TFT를 적용한다.

 

美 2030년 SMR 상용화…韓 수혜

 

▲ 미국 뉴스케일파워의 SMR 모듈. (사진=뉴스케일파워)

 

 

지난 15일 코트라 뉴욕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SMR 기술 개발에 애쓰고 있다.

 

미 에너지국은 2012년 3월 남캐롤라이나주 사바나 강 지역에 SMR 시범 건설을 공모해 홀텍, 뉴스케일파워, 하이페리온과 건설 부지 제공 계약을 체결했다. 2012년 5년간 4억5200만 달러(약 6300억원)를 지원하는 SMR 기술 허가 지원 프로그램도 시작했다. 밥콕앤웰콕스(Babcock & Wilcox)을 사업자로 선정하고 1억1100만 달러(약 1540억원)를 제공했다.

 

2016년 초에는 'SMR 스타트'라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정부와 기업이 소통할 창구를 마련했다. SMR 스타트의 회원사로는 뉴스케일파워와 온타리오 파워, GE히타치 원자력 에너지, 베치텔, 서던 원자력 등이 있다.

 

현지 정부의 높은 관심 덕분에 민간에서도 투자 움직임이 활발하다. 웨스팅하우스와 USNC, 토르콘, 엑셀론 등 현지 기업들은 SMR 연구에 뛰어들었다.

 

특히 뉴스케일파워와 엑스에너지, 테라파워의 기술이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뉴스케일파워는 미국 최초로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SMR 설계 인증을 받은 기업이다. 2013년 12월 45㎿e 출력의 경수로형 원자로(PWR) 투자 승인을 받았고 추후 설계를 수정해 77㎿e로 출력을 올려 개발 중이다.

 

뉴스케일파워는 UAMPS와 아이다호주에 SMR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12월 착공, 2029년에 운전을 시작해 2030년 상업화한다는 목표다. 루마니아 국유 원자력 회사 뉴클리어일렉트리아(SNN), 노바파워와 SMR 6기 건설에도 협력하고 있다.

 

엑스에너지는 미 에너지국으로부터 8000만 달러(약 1110억원)를 지원받아 2027년까지 운전 가능한 원자로를 개발하고 있다. 엑스에너지가 개발 중인 'Xe-100'은 고온가스형으로 80㎿e를 생산하는 모듈 4기로 구성된다. 물을 냉각재로 하는 경수로형과 비교해 고온 운전이 가능해 전력 생산 효율이 높고 경제적이다.

 

엑스에너지는 작년 4월 에너지 노스웨스트, 그랜트 카운티 공공 유틸리티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워싱턴주 리치랜드에 Xe-100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요르단 원자력위원회와도 Xe-100 공급 계약을 맺었다.

 

테라파워는 GEH, 베첼과 고속중성자형 SMR 원자로인 나트륨(NATRIUM™)을 개발하고 있다. 나트륨은 소듐냉각형 원자로에 용융염냉각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합친 SMR로 원자로다. 원자로에서 345㎿e를 발전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통해 5시간 동안 500㎿e까지 열을 저장할 수 있다.

 

테라파워는 와이오밍주에 있는 석탄발전소 부지를 활용해 나트륨 원자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2026년 운영 허가를 받아 가동한다. 건설 비용은 미 에너지국과 테라파워가 절반씩 지불한다. 또 서던 컴퍼니,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와 용융염냉각형 SMR을 연구하고 있다. 워싱턴주 에버렛시에 있는 테라파워 시설에서 연내 운영에 돌입한다는 목표다.

 

미국 기업들이 SMR 투자에 적극 나서며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뉴스케일파워, 엑스에너지의 파트너사로 주기기 제작에 협력하고 있다. 삼성물산과 GS에너지는 뉴스케일파워, SK㈜와 SK이노베이션은 테라파워와 SMR 사업 개발에 협업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규모가 큰 미국에서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한국 기업들이 수주를 받고 있는 형태로 (SMR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며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가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고 밝혔다.

728x90

'글로벌 주요이슈및 해외증시 투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외증시브리핑  (6) 2022.09.20
인도쌀수출금지  (52) 2022.09.19
9월넷째주증시일정  (50) 2022.09.17
글로벌경제분석  (28) 2022.09.17
유럽중국태양광소재수입금지검토  (6) 2022.09.17
네옴시티관련주  (21) 2022.09.16
글로벌경제분석  (20) 2022.09.16
유럽수소은행발표  (20)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