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이시간주요이슈종목

by 아담스미스 2022. 6. 27.
728x90
반응형

2022.06.27 14:54:34
기업명: 현대중공업(시가총액: 12조 2,951억)
보고서명: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계약상대: 필리핀 국방부
세부내용: 수상함 6척
매출대비: 9.0%
계약금: 7449억 원
계약시작: 2022-06-27
계약종료: 2028-12-27
계약기간: 6.5년
기간감안 매출비중: 1.4%

공시링크: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20627800223

이루다 상승이유:

글로벌 의료기기 전문기업 이루다(164060)는 복합치료기인 씨크릿 듀오(Secret Duo) 의 레이저 부분을 업그레이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마쳤다고 27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씨크릿 듀오는 1540nm 파장의 레이저 시스템과 마이크로 고주파(니들 RF) 시스템이 결합된 제품으로 복합적인 시술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니들 RF는 하부진피 영역에, 1540nm 파장의 레이저는 상부진피 영역에 열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좀 더 안전하고 다양한 시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엔에스는 검사·스태킹(Stacking)·조립공정 장비를, 씨아이에스와 하나기술은 각각 전극공정과 화성공정 장비를 공급하게 된다. 설비 발주 규모는 200MWh 안팎으로, 발주액은 약 400억원이다. 이는 완성 배터리셀 업체의 최신 생산공장 규모에 비하면 크게 적다. 파일럿 라인이기 때문이다. 이번 발주는 포드와 SK온의 전기차용 배터리 합작사인 블루오벌SK와 관계없이 포드 독자 사업으로 진행됐다.

포드가 발주한 배터리 생산라인은 우선 배터리 양산보다는 자사 전기차 최적화를 위한 배터리시스템 설계, 각종 성능 구현과 배터리 업체 관리를 위한 연구개발(R&D) 목적으로 활용된다.

본계약은 7월중 계약할것으로 전망되는데 발주 규모가 적은 이유는 파일럿 라인이기 때문이며 8월 포드와 SK온 합작법인이 설립이 완료되면 본격적인 발주가 본격활 전망이다.

 

중국의 폴리실리콘 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중국의 폴리실리콘 가격이 제한적인 공급으로 제조업체들이 배급의 영향을 받으며 계속 상승하고 있다.

실리콘은 반도체, 태양전지 제조에 있어 필수적 핵심 재료다. 디지털시대는 곧 실리콘 시대로 불릴 만큼 실리콘은 전기ㆍ전자 산업의 핵심 중의 핵심 재료로 통한다. 흔히 ‘폴리실리콘’이라고 부르는 결정질 실리콘 덩어리를 얇게 썰어 웨이퍼를 만들고 이 웨이퍼에 각종 공정을 더해 반도체나 태양 전지가 만들어지게 된다.

21세기 디지털시대의 반도체 수요를 비롯해 기후변화 위기에 대비한 청정에너지로 태양전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폴리실리콘 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세계 각국 기업들이 앞다퉈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이 세계 최고의 생산량을 기록 중이다. 3분기까지는 가격이 지속 상승이후 4분기에 경기둔화 움직임 속에 가격이 하락할 전망이다.

 

폴리실리콘관련주
OCI
다원시스
나노신소재
엘오티베큠
한화솔루션
신성이엔지
현대에너지솔루션
월링스

 아이진 주가상승이유:

아이진은 2021년부터 한국비엠아이와 mRNA 생산 연구 및 생산시설 기반 구축을 진행함으로써 코로나19 부스터샷 전용 백신 및 다가 백신(복합 백신) 개발 후 상업화를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mRNA 기반 기술의 장기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올 해 부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Bio)과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 과제 등을 통하여 ‘장기간 냉장보관이 가능한 mRNA 백신 제형개발 및 대량생산 공정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본 과제 수행을 통해 획득되는 mRNA 기반 연구의 고도화 결과를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과 다가백신 개발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폭넓은 분야에 mRNA 기반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활용을 계획 중이다.

아이진은 2020년말 mRNA기반 코로나 백신이 상용화 된 것을 계기로, 향후 mRNA 기반 백신 연구개발이 바이오 및 제약 업계의 판도를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 하에, 기존 백신의 개량 뿐만 아니라 현재 예방이 취약한 여러 분야의 백신 연구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고, 사업성이 뒷받침되는 mRNA 백신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728x90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익QNC  (26) 2022.06.30
주식시장주요이슈  (10) 2022.06.30
주요종목이슈  (18) 2022.06.29
오늘까지매수하면분기배당  (21) 2022.06.28
큐라클  (13) 2022.06.27
제약바이오섹터  (13) 2022.06.27
매크로데일리  (11) 2022.06.27
가스요금인상수혜주  (27) 2022.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