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다시 달로 보내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무인 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일정을 5월 말로 예상했다고 씨넷 등 외신들이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아르테미스1호는NASA케네디 우주센터에 있는VAB내부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오른쪽구조물은 아르테미스 우주선을 위한 발사대의 모습이다. (사진=NASA) 톰 휘트메이어NASA탐사 시스템 개발 부국장은 브리핑을 통해 "4월은 가능성이 없다"며, "우리는 5월 말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아르테미스 1호의 발사 시기는 코로나19등의 이유로 당초 작년 가을에서 점점 미뤄져 올해 2월, 이번에는 5월 말로 다시 조정됐다.
하지만,NASA는 케네디우주센터의 조립건물인VAB에서 수행된 ‘스페이스 런치 시스템’(SpaceLaunchsystem,SLS) 로켓에 대한 주요 테스트가 완료됐다고 강조했다.
또,NASA는 우주선을 쏘아올릴SLS로켓과 오리온 우주선 모듈을 포함한 아르테미스 1호 완전체가 발사대에 세워지는 최종 점검 절차WDR(wetdressrehearsal) 단계로 곧 이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NASA는 이 시기를 다음 달17일로 잡고 있다.
SLS로켓과 결합된 오리온 우주선의 모습 (사진=NASA) 아르테미스 1호가 실린 발사체의 높이는 약122m, 무게는 7천 톤이 넘을 것이라며 “정말 멋진 광경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WDR단계를 마치면 최종적인 우주선 발사 일정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NASA는 덧붙였다.
아르테미스 1호는NASA가 인간을 직접 우주로 보내기 전에SLS와 오리온 우주선의 설계와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NASA아르테미스 임무는2025년까지 여성을 포함한 우주인 2명을 달에 보내고 향후 달에 유인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https://zdnet.co.kr/view/?no=20220225094536)
추가적으로 부가설명을 드리면 2021년 한미정상회담에서 한국도 아르테미스 사업에 공으로 참여하게되면서 향후 한국의 달탐산선 기술 역량확보에도 큰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작년 하반기 누리호 발사의 절반의 성공으로 인해 2022년 하반기 누리호 발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자체적인 GDS 위성을 개발중에 있으며 군사통신 위성도 추가적으로 개발과 우주로 쏘아 올릴 예정입니다. 미군 정찰위성이 있다고 하지만 전작권환수에 발맞추어서 자주적인 위성강국으로 발돋움 하기위해서 향후 차기정부에서 우주청이 새로 신설될 개연성도 높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