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마감시황브리핑

by 아담스미스 2023. 2. 17.
728x90
반응형

마감 시황브리핑 

주식시장상승을 강철콘크리트로 때려막아서는 빠월이와 연준 조폭일당들!!



미국 긴축 우려 재부각되며 매물출회되었습니다.
미국 생산자물가, 연준 인사들 강경발언으로 인해 
미 증시는 물가 보다 연준 인사 발언에 더 영향을 미쳤습니다.
물가 지표는 개장 전에 나왔습니다.
하락 출발했으나 낙폭 줄이는 시도가 초반에 나왔으나 
재차 하락시킨  연준 돌아이들 발언 어케 돌아가면서 초강경발언을 일삼는건지 
한동안 사라졌던 빅스텝 언급하며 긴장감 높아지고 있습니다.
환율까지 1300원 돌파하면서 우려감을 크게 만들고있습니다.



금일 코스닥은 상승 주도했던 대형주 밀리며 약세흐름입니다.
특히 이차전지주 에코프로가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차익실현 매물입니다.
테슬라 약세. 단기상승 부담 여파도 작용되었으며 
63000원대 전환청구권 행사도 부담으로 작용되었습니다.
최근 시세 큰 종목들 4주 가량 오르면 둔해지는 경향인데 

에코프로가 대략 4주 가량 올라 기간을 채웠습니다.


금일 외국인은 매수하며 선별적으로 물량 받는 모습이였습니다.
전기전자, 운수장비, 금융, 서비스 등 매수
통신, 철강, 비금속광물 등은 매도
금융투자가 다시 매도로 전환했으며 개관애들도  매도
철강, 금융 매수. 전기전자 매도가 많았습니다.
코스닥은 양주체 모두 대량 매도
특히 이차전지 관련주 매도가 강하게 출회되었습니다.



이번주는 요란한 증시 변동성이 이어지는 양상입니다.
이번주 결과적으로 양시장 +- 0.5% 수준 등락수준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날짜별 변동성은 상당히 심했습니다.
미 증시에서 단기 옵션 비율이 대단히 높다는 보도입니다.
우리 증시도 외국인 선물 거래가 지극히 투기적입니다.
나오는 뉴스를 과잉 해석하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됩니다. 뉴스하나에 선물 미결제약정 규모로 1조원이 왔다갔다 하는등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분간 금융 시장 안정시킬 재료는 없습니다.3월 미국 연준은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그렇다면 한미간 기준금리 편차가 최대 1.5%이상차이가 나게되면 국내시장에서 급격히 자금이탈이 가속화될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인상이 있을지도 관건입니다. 대한민국 가계부채가 매우매우 심각합니다. 제정신이 아닌 인간들이 사채까지 써서 부동산투기에 올인하다보니 부동산으로 인한 국가재정의 근본이 휘청거릴 지경입니다. 

예대마진으로 수익성을 창출하는 은행에 예금금리도 강제로 인하시키고 대출금리도 강제로 인하시키고 이런 깡패독재 정권이 도대체 무슨 진정으로 국가를 위한 다는것인지 그린벨트까지 풀어서 무역적자는 최단기간에 역대 최대치를 만들어놓고 건설규제 완화해서  다시 경기부양을 시키겠다? 가당치도 않는 괴변입니다. 나라의 근본을 송두리째 뒤엎을 정책입니다. 이런것도 모르고 신나서 지지하는 꼬락서니들 보면 정말 한심스럽습니다. 도대체 누구를 위한 정책인지  법인세 인하 부자감세 일반 국민들은 공공요금 인상되서 허리가 휘청거리고 대출이자에 생활비에 도대체 국민을 알기를 멀로 알기에 이런 정부는 정말 회의 정도가 아니라 분노가 치솟습니다.

 

정책이란 국민과 국가를 위한 올바른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건설은 매우 미시적인 경기부양책일뿐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부채증가로 인해 과거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을 만들게됩니다.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를 우리 앞바다에 버려도 항의한마디 안하는 정부 이게 당신들이 원하는 국가와 국민인지 한번 물어봅시다.2022년 통계치로 OECD 기준 대한민국 무역적자 경상수지 적자폭 압도적 입니다. 선택하신분들이 고통당하는건 당연하다 보는데 왜 다른 국민들까지 피해를 봐야하는지 분노가 이루말할수가 없이 치솟습니다.

 

미국증시는 상승방향성 나타내기는 3월 FOMC회의까지 매우 힘들것입니다. 증시가 상승만하면 연준놈들 나와서 금리를 7%까지 인상해라 초강경발언을 지속하는 판국에 이런 판국에 무슨 미국증시 투자를 하겠다는것인지 하지마시길 바랍니다.안하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중국의 리오프닝으로 인한 경기부양책 효과가 아직은 미미합니다. 소비보다는 1월기준 저축율이 대폭 상승했습니다.3월 전인대회를 앞두고 중국정부에서 어떤 발표와 경제운용정책을 발표할지도 관건입니다. 다만 중국 대도시 중심으로 서서히 부동산가격이 상승흐름인데 중국전체적으로는 무려 6천만채가 넘는 주택이 미분양입니다. 본격적으로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회복되는데는 2분기까지 가야 되지않겠나 생각됩니다. 대중 무역적자가 흑자로 전환되는 시점은 아무리빨라도 올해 9월은 되야 하지않겠나 전망됩니다.

 

 

오늘은 이런말로 마무리하고자 합니다.국어를 알면 주제파악좀 하시고 산수를 배웠으면 덧셈 뺄샘좀 정확하게 생각하면서 세상을 살아갑니다. 거짓과 왜곡된것을 믿지마시고 현명하게 세상을 살아가도록 합시다.

모두들 수고많으셧습니다.

 

 

 

 

728x90

'주식투자정보및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기계관련주  (12) 2023.02.20
주식투자정보  (6) 2023.02.20
주식투자정보  (4) 2023.02.20
주식투자정보  (4) 2023.02.20
외환시장  (14) 2023.02.17
주식투자정보  (6) 2023.02.17
주식투자정보  (6) 2023.02.17
주식투자정보  (6) 20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