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배터리

원통형배터리관련주

by 아담스미스 2022. 5. 18.
728x90
반응형
한물갔다고 여겨진 원통형 배터리의 부활
BMW, 볼보 등 완성차 업체 관심
전동공구·e바이크 시장도 확대
 
 
 
 
원통형 배터리 이미지.
 

원통형 배터리를 전기차에 탑재하는 기업이 늘어날 전망이다. 원통형 배터리는 재충전이 가능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리튬이온 배터리인데, 과거 노트북, 휴대폰 등에 주로 사용됐다가 각형, 파우치형 배터리에 밀려 한동안 세가 줄었습니다.

그런데,반전의 계기는 테슬라가 마련했습니다.모델S, 모델3, 모델Y 등에 적용하면서 사용량이 크게 높아졌으며,볼보, 재규어·랜드로버 등이 원통형 배터리를 쓰고 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BMW,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가 원통형 배터리 신규 채용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 가운데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 것은 BMW입니다.지난해부터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과 접촉해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개발을 타진해 왔는데, 아직 별도의 합작사 설립은 이뤄지지 않았으나, 2170 규격(지름 21㎜, 높이 70㎜)과 4680 규격(지름 46㎜, 높이 80㎜) 원통형 배터리의 장점을 결합한 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GM은 아직 연구·개발(R&D) 수준이며,2170 규격 원통형 배터리를 기존 전기차에 탑재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스텔란티스는 푸조, 시트로엥, 지프, 피아트, 마세라티 등 여러 브랜드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배터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원통형 배터리가 주목받는 이유는 생산성 때문인데,양극재, 음극재, 분리막을 돌돌 말아 원통형 캔(CAN)에 집어넣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기술의 발전으로 생산 속도도 한층 빨라졌습니다. 예컨대 신규 투자가 진행 중인 삼성SDI 말레이시아 공장의 경우 분당 생산속도(PPM)를 종전 200PPM에서 300PPM으로 높였으며.,시간당 생산량 확대로 연간 생산 규모를 20% 이상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권취기(와인더) 성능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2170 규격 원통형 배터리까지는 안정화가 이뤄졌으나, 4680 규격 원통형 배터리는 아직 제대로 양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이 배터리는 단동장비를 추가로 써야 하고 전해질 주입기를 새로 개발해야 한다. 더 커진 원통형 배터리를 빠른 속도로 만드는 것은 고난도 기술입니다.

전기차가 원통형 배터리 최대 수요처로 떠오르면서 전동공구, e바이크 업체들은 배터리 물량 확보가 그만큼 어려워졌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원통형 배터리 공급부족이 지금도 이어지면서 신설 공장에 대한 요구가 커졌으며,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애리조나에 원통형 배터리 전용 공장을 짓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이라고 말했습니다.

원통형 배터리는 IT 시장 중심으로 성장했다가 전동공구, 정원공구, 무선청소기와 같은 비 IT 중심으로 수요처가 달라졌으며,지난해 시장 규모는 약 110억셀이었는데,올해는 150억셀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원통형배터리 관련주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TCC스틸

상신이디피

코스모신소재

포스코케미칼

엘앤에프

일진머티리얼즈

후성

KG케미칼

삼진엘앤디

이수화학

솔루스첨단소재

에코프로비엠

나라엠앤디

티에스아이

동국알앤에스

에이에프더블유

신흥에스이씨

삼지전자

이랜텍

신성델타테크

삼아알미늄

동원시스템즈

 

728x90

'전기차 배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스텔란티스미국합작공장수혜주  (10) 2022.05.24
원준  (16) 2022.05.23
배터리3사미국17조5천억투자  (15) 2022.05.19
액트로  (11) 2022.05.19
망간관련주  (20) 2022.05.18
배터리후방업계상장열품  (8) 2022.05.18
급변하는배터리시장  (23) 2022.05.17
니켈관련주  (4) 2022.05.17